본문 바로가기

뉴스보이 기사(newsboy.kr)/미디어

"잡아먹히는 신문, 잡아먹는 웹... 미디어 대변혁 머지 않았다"

"신문 잠식해 가는 웹 2.0... 미디어 대변혁 머지 않아"
- 이승훈 인터넷신문 뉴스보이 발행인의 20여분.


"신문이 향후 십수년 안에 죽을 거라는 시선이 있습니다. 전 그렇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다만, '죽어간다'는 것에 대해선 동의합니다." - 이승훈, 뉴스보이 발행인


그는 항시 고뇌한다. 올드와 뉴 미디어 사이에서 궤적을 그리던 그는 이제 또다시 신세기의 행방을 찾아 헤맨다. 


다소 충격적인 이야기가 흐르는 가운데 장중은 침묵을 이어간다.

1일, 2009 헬스 커뮤니케이션 세미나가 열리는 서울 프리마호텔. 지금 이야기하는 연사는 인터넷신문 뉴스보이의 발행인, 이승훈 공동대표다. 세션 1 중 '뉴미디어 트렌드'를 주제로 20분을 진행한다.




그가 맡은 것은 이날 모인 건강과 의료 분야의 현직인들 뿐 아니라, 매스미디어와 인터넷 전반을 아우르는 내용이었다. 향후 한 잡지사 대표는 본 발언에 앞서 "대단히 놀랍다, 잡지의 운명은 어떻게 되는 것이냐"고 밝히기도 했다. 이미 미디어 전문가들 사이에선 그것의 가시화 시점을 놓고 의견이 분분한 미래의 매스커뮤니케이션 전망이 이날 발언의 내용이다.

그의 연설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인터넷이 열린 뒤 급변한 지난 매스미디어의 15년사, 그리고 현재 업계에서 전망하는 근미래의 대변혁, 마지막으로 장중에 던지는 하나의 질문이었다.

초반부는 인터넷과 웹 미디어가 인류의 미디어를 어떻게 뒤흔들었는지 정리했다. 그는 포털 야후와 신문의 인터넷판이 등장한 1994년을 그것의 원년으로 삼았다. 이후 인터넷신문과 UCC 개념이 탄생한 1995년, 댓글이 등장한 2000년, 블로거뉴스와 트위터가 등장했던 지난 2006년, 그리고 미디어법 폭풍이 몰아치는 올해까지를 한눈에 담았다. 가장 주된 요지는 "인터넷 미디어가 올드 미디어보다 각광받는 세력구도의 변화"다.

"어느 관계자에게 인터넷매체가 신문보다 신뢰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이야기를 하자 그 분은 그 조사가 잘못된 것이다, 그럴리 없다고 하더라고요. 헌데 저 스스로도 지금은 신문보다 인터넷의 소식을 더 신뢰하는게 사실이거든요."




이후 시간은 대지각 변동 중 아직 실체화 되지 않은 미래의 것을 말하는 시간. 여기엔 향후 몇년 안에 신문이 사라지고 TV가 도태하는 '올드 미디어의 최후'가 언급된다. 그가 꺼낸 참조자료에 그 시점은 '2015년'으로 명기돼 있다. 불과, 6년 후다.

"어떻게 이같은 시점이 도출된 건진 모르겠는데, 전 신문이 완전히 사라질거라곤 생각 안 합니다, 다만, 그 기운이 점차 사그러들거라는 생각은 같습니다."

아울러 "누가 신문을 죽이는가"(Who killed the newspaper?)란 타이틀의 3년전 이코노미스트지 보도를 소개, "많은 신문들이 도산대열에 드는건 시간문제며 수십년내 세계 신문의 절반이 접힐지 모른다"를 위시한 경제학자의 경고 메시지를 소개했다. 특히 대부분 신문기업이 아직도 새 미디어 환경에 적응 못해 우왕좌왕한다는 부분은 매체 관계자들 주목을 끌기 충분했다.



이 부분은 이미 몇차례 IT 뉴스에서 사용된 바 있는 자료. 트위터 열풍 기사가 한참 나돌 당시 블로그의 전성시대와 트위터로의 세대교체를 언급하면서 사용됐던 매스커뮤니케이션의 흐름인데, 여기선 전체를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신문과 잡지는 이미 그 끝자락이 가시화된 상황. 텔레비전과 라디오 역시 얼마 남지 않았다. 소셜 네트워크와 뉴스체제로 전환되는 시점에 서 있다는 점을 통해 현재 홍보수단을 어떤 미디어로 잡을 것이며 또한 기존 미디어는 어떤 전환을 고려해야 할지 다시 한번 환기시켰다.

 

연설이 후반으로 접어든다. 그는 매체환경의 변화와 미디어 진화의 키워드를 개인, 참여, 개방, 공유, 놀이, 네트워크, 선택권, 디지털(인터넷), 컨버전스, 유비쿼터스 이상 10가지로 삼는다. 마샬 맥루한의 "미디어는 인간의 확장", 그리고 쟝 보드리아르의 "인간은 미디어의 확장"을 인용하며 변화 및 진화의 예측을 언급한다.

재미있는 내용이 전개된다. 지난 7월 시사저널 미디어리서치의 자료다. 직업 신뢰도에 있어 상위그룹엔 소방관과 간호사, 환경미화원과 운동선수, 의사, 한의사, 교사, 은행원, 이발사와 미용사, 프로그래머가 75에서 90퍼센트에 위치, 포함됐다. 60에서 74퍼센트의 중위그룹엔 신부와 문화예술인, 대학교수와 판사, 텔레마케터와 운전원, 방송인, 승려, 회계사, 경찰이 들었다.
하위그룹의 30에서 59퍼센트가 소개된다. 드디어 기자가 나온다. 기자를 비롯해 연예인과 검사, 세무사, 공무원, 시민단체활동가, 목사, 변호사, 기업인, 증권 보험종사자, 공인중개사가 언급됐다. 실은 높은 신뢰도를 담보해야 할 업계인들이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함을 보여준다. 참고로, 11.7퍼센트로 최하위를 기록한 건 다름아닌 정치인이었다.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향후 미디어가 취해야 할 것은 단순한 시스템적 진화와 트렌드가 아닌, 원론의 신뢰성과 설득력 회복이 최우선이란 점을 떠올리게 하려는 것인가. 현시대의 모든 매스커뮤니케이션 관계자와 저널리스트들이 생각해 볼 과제를 던진다.



시간이 초과됐음을 알리는 진행자. 그는 이야기를 서두른다. 제한된 시간에 비해 던질 것은 너무도 많다. 숨이 가빠온다. 그러나 마무리는 어렵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그가 던진 질문에 이 날 발표의 모든 것이 들어 있었다.



미디어와 관계하려는 이, 그리고 반대로 '어떤 미디어'를 준비해 놓아야 하는가를 고려할 미디어 측. 모두에게 공통된 난제가 주어졌다. 당초 세미나의 틀을 넘어 광범위한 영역을 다뤘던 그의 20여분이었다.



뉴스보이 권근택 기자 kwon@newsbo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