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기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선, 네티즌과 시티즌의 담소터.
나 자신이 아닐지라도 동명이인이 이름 불리며 욕 얻어먹는 모습 보고 있자면 마음 불편치 않을 이 없으리.
그게 아니면 좋은 이름에 먹칠하는 동명이인에 나도 한마디 보태야 하나.
순간 이름보고 멈칫. 16일 영결식은 물론 5일 사망보도에서도 비슷한 댓글, 비슷한 반응 연출. 이런데서 이름이 연호되니 좋지 않다. | ||
37. 산에 묻힌 자들에 또한번 덮친 악플 눈덩이
16일 산사나이들의 영결식이 있었다. 히말라야 K2 정상에 오른 뒤 하산 중 사망한 대원 세명의 영결식. 제2의 구조라 불리는 시신 수습도 이루지 못했기에 가족들은 마지막 얼굴도 못보고 영혼만 하늘로 올려보내야 했다.
하늘과 맞닿은 얼음관에 묻힌 이들. 한 지역신문은 "올림픽 환호에 가려진 시신없는 장례"라고 비보를 전했다. 더 많은 국민들의 조의를 바란 안타까움이었을까. 그런데.
차라리 더 가려지는게 나았을지 모른다란 생각이 들만치 큰 문제가 따로 있었다. 그들을 향한 사람들의 말 속엔 위로와 조문만 있는게 아니었다. 비보가 터질때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불청객들. 네티즌들의 인터넷 조문 속엔 눈에 묻힌 저들을 또 한번 깊은 수렁으로 밀어넣는 악플이 난무하고 있었다.
파키스탄 정부가 한국인 3명을 포함 11인의 사망자를 공식 발표했던게 지난 4일. 당시 각 포털 기사에 달린 댓글 반응을 살펴보면 상식 밖의 악플이 어안을 벙벙하게 만든다. "나라망신", "잘 죽었다", "자업자득", "박물관에 전시할 구경거리 미이라" 등 생전 저들과 인연 한번 맞닿은 적 없었을 이들이 던져놓는 악언이 분위기를 어지럽혔다.
그래도 영결식에선 나아지려니 했다. 천만에.
보다 못한 어느 네티즌이 결국은 "말이라고 다 하느냐"고 외쳤다. "컴퓨터 앞에서 사람을 두번 죽인다"는 외침도 있었다. 이어지는 조문 리플 중 듬성듬성 섞인 악플이 사람들의 심정에 연결된 무언가를 마구 튕기고 있었기에.
▲ 악플 달지 말라는 네티즌들의 성토. 그러나 맨 아래처럼 몹쓸 글들은 줄곧 이어졌다 | ||
가관이다. "개죽음"부터 시작해 산악인들을 정신병자 취급하는 글들이 터져나와 심기를 어지럽힌다. 죽은 이들만 욕되게 하질 않는다. '사랑하는 아빠 안녕'이란 제목의 연합뉴스가 전하는 어린 아들의 눈물. 그 사진을 보며 "아버지는 재혼하면 다시 생길텐데 왜 우느냐"고 태연히 적어놓은 것에 '진짜 못된 새끼네'란 꼬릿말이 줄줄이 달린건 말할 것도 없다. 악플러를 오락거리처럼 자처하는 이들의 행태는 여기가 어떤 자리인지도 분간치 못하는 듯 보였다.
혹자는 이렇게도 말한다. 자기 꿈 때문에 처자식 버리고 위험천만한데 올라 생을 마감했으니 욕 좀 먹어야 하지 않냐고. 이렇게 답하고 싶다. 그 누구나 꿈을 간직하고 사는데 여기엔 항상 위험이 존재하며, 다만 그들의 영역은 다른 것들보다 그게 좀 더 도드라져 보일 뿐이라고 말이다. 적어도 그에 대해 비난할 권리는 그 남겨진 가족 외엔 함부로 주장할 수 없는게 아닐까.
뉴스보이 권근택 기자 kwon@newsbo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