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보이 기사(newsboy.kr)

명박산성, 비폭력 평화 집회 도왔다?

말많던 명박산성, 비폭력 평화 집회 도왔다? 
시민들, 재치로 새로운 집회문화 연출...평화적 결집력 돋보여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야간, 명박산성의 위용  

어제 갑자기 이순신 장군 동상 앞에 등장, "국보 0호 명박산성"이란 이름을 부여받은 컨테이너 바리케이트. 그러나 결과적으로는 시민들의 재치에 힘입어(?) 10~11일의 대규모 촛불집회를 주목할만한 비폭력 평화적 집회로 이끌어내는데 결과적으로는 일조했다.

이 컨테이너 바리케이트는 등장하자마자 "현 상황의 소통 부재를 잘 보여준다", "하다하다 개그콘서트가 울고갈 별의별 아이디어가 다 나왔다" 등 온갖 잡음을 키웠다. "여기가 부두인줄 알았다"는 냉소가 따랐고 "세계사에 전례를 찾을 수 있을까"란 실소도 터졌다. 그러나 무엇보다 큰 문제는 최대규모 집회의 대응책으로 나왔고, 지금껏 보지못했던 거대하고 생소한 물체인 만큼 보는 것만으로도 '어떠한 사태를 야기할 줄 모른다'란 위압감을 느끼게 만든 것에 있다. 경찰 측은 "그리 쉽게 불붙지 않는다"고 부인했으나 그리스를 발라 "화재 위험성이 농후하다"란 염려를 낳은 점은 물론, 혹 무너질 경우 큰 불상사가 생길 수도 있어 전경과 버스로 이뤄진 기존 방어선 이상으로 거부감을 낳는 것이 불가피했다. 자칫하면 존재 자체가 집회자들을 자극할 수 있었던 셈이다.

그러나 이번 집회는 우려와 달리 비폭력 평화집회로 마무리됐다. 큰 충돌이 없었음은 물론, 시민들은 오히려 명박산성 앞에서 평화적이면서 보다 단단한 결속력을 보여주는 모습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충돌이 없었던 것은 우선 경찰과 직접적인 접촉이 없었기 때문. 한밤 내내 시민들은 전경들과의 첨예한 대립 대신 명박산성과 마주하고 있었다. 덕분에 접근을 허락치 않는 전경들과의 마찰 및 물대포, 소화기 살포와 같은 지난날의 충돌이 없었고 부상자도 확연히 줄어들었다. 비록 해산 상황에서 20여명이 연행되긴 했으나 지난날 상황에 비춰본다면 비교적 다행인 결과. 경찰 측이 자체적으로 '안전했다'라 호평하는 것이 이 때문이라면, 이는 분명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주 요인은 역시 시민들의 현명한 선택이었다. 시민들은 컨테이너에 '경축! 서울의 랜드마크 명박산성'이란 현수막을 걸어 보는이로 하여금 노성 대신 폭소부터 이끌어내더니 마치 관광명소에 찾아온 이들처럼 축제 분위기를 만들어갔다. 각종 포스터와 풍선, 꽃다발 등으로 튜닝되고 스프레이 벽화예술로 치장되자 시민들은 이에 기묘한 정감까지 느낀 듯 앞에서 기념사진을 찍기도. 어떤 이는 산성 앞에 '제 2의 베를린 장벽'이라며 다소 일그러졌으나(?) 역사적인 의의까지 부여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제2의 베를린 장벽으로 화했다  


  한때 스티로폼 박스탑이 앞에 설치되면서 긴장감이 조성되기도 했다. 지난 1일 새벽 경복궁에서, 또 8일 광화문, 같은 장소의 전경버스 앞에 설치되던 사다리의 대용으로 사용, 뒤로 넘어가 전경들과 다시 대립할까 우려한 시민들은 "내려와"를 외치기도. 그러나 이 박스탑에 오른 한 시민은 "이를 타고 넘어가자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으나 자유발언대로 사용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소통의 단절을 의미하는 산성 앞에서 나름의 의미를 가지는 발언대였다.

그러나 역시 명박산성이 가장 돋보였던 것은 동이 틀 무렵, 태극기 퍼포먼스가 펼쳐질 때였다. 날이 밝아오면서 사람들은 박스탑위에 몇개의 스티로폼을 더 쌓아 산성위에 올랐다. 그러나 이는 전경들과 대치하고자가 아닌, 메시지 전달을 위해서였다.

"소통의 정부, 이것이 MB식 소통인가"란 대형 현수막이 처음엔 전경들 앞에, 이후엔 시민들 앞에 펼쳐졌다. '분단된 소통의 상징물'이었던 명박산성 정상에 올라 깃발을 휘날리던 이들의 함락 메시지로서 더할 나위 없는 선택문구. 이는 언론에 그대로 보도됐다. 쇠파이프 폭력으로 얼룩졌던 지난 8일 새벽의 모습보다 훨씬 설득력 있는 비폭력 집회의 '그림'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퍼포먼스의 마무리는 태극기.

  명박산성은 그 존재 자체가 시민들의 결집을 도왔다. 아침, 이를 지켜보던 한 시민은 실소를 터뜨리며 "이게 세계 다른 나라에선 전례가 있긴 할까"라고 자문했다. 이같은 모습은 태극기를 정상위에 올린 스티로폼 박스에 꽂아놓고 내려오던 이들의 비폭력 퍼포먼스와 맞물려 보는이들의 공감을 이끌어냈다. 지난 8일, 쇠파이프로 과격하게 치닫던 전방에서의 모습에 시민들이 "이게 아닌데"라고 술렁이던 것과는 사뭇 달랐다. 시민들은 애국가를 제창하고 박수를 치며 "브라보"를 연호했다. 촛불집회자들이 바라던 비폭력이 최상의 결과를 낳은 순간이었다.

물론 명박산성이 다시 설치될 경우, 이후에도 똑같이 비폭력 평화 집회, 사고 없는 집회가 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만일 다시 강경 돌파를 주장하며 흥분하는 이들이 나올 경우엔 앞서 거론된 화재 위험, 무너질 위험, 여기에 과격 대치까지 숱한 위험 가능성이 제기된다. 컨테이너 방어막 자체가 경찰들이 마주하지 않는 무인 바리케이트라 해서 곧바로 안전하다고 주장하는 것엔 무리가 있다. 경찰의 안전 주장에 무작정 동의할 수 없음은 여기에 있다.

그러나 적어도 이날 만큼은 이 거대한 장애물 앞에서 시민들의 적절한 판단이 안전하고 평화적인 집회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최소한, 지난 8일 새벽 벌어진 쇠파이프 폭력 사태로 인해 자칫 얼룩질 수 있었던 여론의 흐름을 다시 평화집회에 주목케 했다는 것만으로도 이 날의 모습은 충분히 의미 있었다.


<뉴스보이> 권근택 기자
 newsbo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