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관위 뒷목잡을 말,말,말 쏟아진 성신여대 한국정당회의
15일, 성신여자대학교 성신관. 한국정당학회 춘계학술회의가 열렸다.
이 중 1부 주제인 '소셜네트워크 발전과 선거환경의 변화'에선 올 6월 지방선거에서 서울시장 후보 출마를 선언한 3인 예비후보가 나란히 등장, 눈길을 끌었다. 한나라당에선 나경원 의원, 민주당에선 이계안 전 의원, 진보신당에선 노회찬 대표가 나란히 자리한 것.
제목에서 예상가능하듯, 이 자리는 현 선거 최대의 뜨거운 감자인 트위터 규제 논란이 도마에 오른 자리였다. 서울 시장 자리를 노리는 3인을 비롯 여러 토론자들이 돌아가며 마이크를 이 자리, 선관위에서 나온 사람이 혹 있었다면 뒷목을 잡을 만한 발언들이 연이어 이어졌는데, 이 중 몇마디를 간추려 봤다.
혹 선관위 관계자라면 안 보는게 좋을 듯 싶다.
이 중 1부 주제인 '소셜네트워크 발전과 선거환경의 변화'에선 올 6월 지방선거에서 서울시장 후보 출마를 선언한 3인 예비후보가 나란히 등장, 눈길을 끌었다. 한나라당에선 나경원 의원, 민주당에선 이계안 전 의원, 진보신당에선 노회찬 대표가 나란히 자리한 것.
제목에서 예상가능하듯, 이 자리는 현 선거 최대의 뜨거운 감자인 트위터 규제 논란이 도마에 오른 자리였다. 서울 시장 자리를 노리는 3인을 비롯 여러 토론자들이 돌아가며 마이크를 이 자리, 선관위에서 나온 사람이 혹 있었다면 뒷목을 잡을 만한 발언들이 연이어 이어졌는데, 이 중 몇마디를 간추려 봤다.
혹 선관위 관계자라면 안 보는게 좋을 듯 싶다.
노회찬 대표 - 내가 한번도 가본적 없는 음식점 가서 칼국수 시켜 먹는다고 하자. 이거 분명히 선거운동에 목적이 있는 행동이다. 그럼 그렇다고 해서 이거 못하게 할거냐? 그럼 난 밥도 못 먹고 집에서만 밥 해 먹으란 말이지 뭐냐?
그리고 또 하나 선거법 논란에서 이야기 되는 나이 제한. 19세 이하는 선거 관련해 이러면 안 되고 또 뭐 저러면 안되고... 그런 규제말인데, 그렇게 따지면 유관순 열사가 만세운동 한 거, 그것도 나이가 19세 미만, 어리니까 위법이다. 그럼 유관순 열사가 만세운동 한것도 위법이라 할건가?
그리고 또 하나 선거법 논란에서 이야기 되는 나이 제한. 19세 이하는 선거 관련해 이러면 안 되고 또 뭐 저러면 안되고... 그런 규제말인데, 그렇게 따지면 유관순 열사가 만세운동 한 거, 그것도 나이가 19세 미만, 어리니까 위법이다. 그럼 유관순 열사가 만세운동 한것도 위법이라 할건가?
나경원 의원 - 선관위의 트위터에 대한 규제는 허위사실이라거나 하는 문제가 아닌 이상은 규제하지 않고 풀어주는 것이 맞다. 선관위는 선거에서 크게 돈 문제, 허위 유포 문제의 두가지 사안을 두고 일을 하는데 트위터 문제는 이 중 후자만 신경쓰면 되며, 이러한 사안에 해당하지 않는 거라면 자유롭게 해야 한다.
한편, 한나라당도 현재 '스마트 정당'을 내걸고 활성화를 꾀하고 있지만 '우리끼리만 말하고 답글은 돌아오질 않는다'고 말하는 상황이다.
이계안 전 의원 - 일전에 내가 쓴 글을 가지고 선관위에서 내리라고 했다. 나도 법을 만드는 국회의원이었던 사람이지만, 이에 대해선 못 내리겠으니 차라리 날 고발하라고 반발했다. 그랬더니 고발은 안 하고 내려달라 사정을 하던데, 그러지 말고 그냥 고발하라고 대꾸했다.
정작 선거를 치르면 투표율이 낮아 당선자의 대표성에 대해 의문을 가지는 게 현실인데 트위터를 통해 관심을 유도하는 것조차 이토록 제지하면 어찌하느냐.
장우영 대구 가톨릭대 교수 - 07 대선 등 최근 선거에서 살펴보면, 인터넷은 실종됐다고 할 수 있다. 탄핵 정국 이후 공직선거법 개정 및 규제의 확대 이뤄졌다. 결국 UCC 비롯해서 대거 선거법 위반에 묶였다. 당시 '앞으로 인터넷 선거의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예측한 것들이 다 빗나가 버렸다.
진성호 의원의 '네이버 평정' 발언 기억하실 것이다. 그런 분이 현역으로 입법 참여하는 게 현실이다. 대선 때 보면 UCC는 없고 다 후보 캠프에서 만든 홍보물 뿐. 댓글로 발전해 가는 것이거늘 당시 인기있었다는 제작물의 상황 봐도 아는 사람 덕담 정도만 있고 댓글 자체가 실종.
진성호 의원의 '네이버 평정' 발언 기억하실 것이다. 그런 분이 현역으로 입법 참여하는 게 현실이다. 대선 때 보면 UCC는 없고 다 후보 캠프에서 만든 홍보물 뿐. 댓글로 발전해 가는 것이거늘 당시 인기있었다는 제작물의 상황 봐도 아는 사람 덕담 정도만 있고 댓글 자체가 실종.
류석진 서강대 교수 - 선관위의 지난 모습들 보면, 다 예상범주에 있었고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2004년 디시인사이드에 호되게 당하는 등(탄핵 정국에서 '왕의 귀환' 등 패러디물이 쏟아졌다) 일을 겪을 때마다 딱 내가 예상하던 수순대로 규제 등을 진행. 한편으로는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것에 반갑기도 하고(웃음) 또 한 편으로는...(여기서 객석에선 폭소)
- 폐회 후 밖으로 나선 그가 한숨 돌리며 담배를 물자 지인들은 다가가 "발언이 너무 셌다", "벌써 트위터는 난리났다"며 장난 반으로 겁을 줬다. 나도 다가가 "오늘 선관위에 대해 센 발언이 많았는데 그대로 전해도 괜찮겠느냐"고 묻자 그는 잠시 주저하다 웃으며 고개만 끄덕끄덕.
하승창 희망과 대안 위원 - 선관위, 축소해야 한다. 예전에야 관광버스 잡고, 사진 찍고 돈 선거 적발 등 할 일 많고 일 손 많이 필요했다. 그러나 지금이야 트위터 등 인터넷 돌아가는 모습들만 그냥 한두사람 지키고 앉아 모니터링 하면 된다. 인터넷서 금품이 도는 것도 아니지 않느냐.
축소가 답이라니까.
뉴스보이 권근택 기자 kwon@newsboy.kr
축소가 답이라니까.
뉴스보이 권근택 기자 kwon@newsboy.kr